NECST 원칙으로 1조 매각! 달러 셰이브 클럽이 증명한 부의 추월차선 전략

kingjc 2025. 5. 6. 16:11
반응형

Dollar Shave Club이 증명한 부의 추월차선

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기 시작하면서, MJ 드마코의 『부의 추월차선』을 다시 읽게 됐다. 엠제이 드마코가 말한 부의 추월차선에서 핵심은 단순히 "빨리 돈 벌자"가 아니다. 진짜 부자가 되려면 시스템과 구조 자체가 부를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살아야 한다. 그 핵심이 바로 NECST 원칙이다. 이건 그냥 이론이 아니라 실제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느꼈다. 아래에 내가 이해한 방식과 실제 사례를 정리해봤다.

부의 추월차선 책

 

이 공식은 단순한 개념이 아니라, 실제로 기업이 수천억 가치로 매각될 수 있게 만든 실전 전략이다.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달러 셰이브 클럽(Dollar Shave Club)이다.

💡 NECST란?

NECST는 아래 다섯 가지의 핵심 원칙으로 구성된다.

  • Need – 사람들이 진짜 필요로 하는 문제 해결
  • Entry –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없도록 진입 장벽 확보
  • Control – 플랫폼, 유통 등을 직접 통제
  • Scale – 고객이 늘어도 수익은 자동으로 늘어나는 구조
  • Time – 시간과 돈을 분리한 시스템

🚀  NECST실제 사례: 달러 셰이브 클럽

Need – 면도기 구매의 귀찮음을 해결하다

사람들이 매번 면도기를 사러 가는 걸 귀찮아하고, 비싸다고 느낀다는 점에 주목했다. 달러 셰이브 클럽은 이를 자동화된 정기배송 구독 서비스로 해결했다.

Entry – 바이럴 영상과 브랜딩으로 차별화

2012년에 올린 바이럴 광고 영상 하나로 첫 달에 1만 2천 명 유료 고객을 확보했다. 유쾌한 마케팅과 스토리텔링이 경쟁사를 압도했다.

Control – 자체 유통망과 브랜드 구축

타사 면도기를 유통하던 초기에서 벗어나, 자체 제품을 만들고 유통까지 직접 통제하며 브랜드 중심의 구조로 전환했다.

Scale – 고객 수 증가에도 안정적인 비용 구조

구독이라는 모델 덕분에 고객이 늘어나도 구조가 무너지지 않고, 확장성이 뛰어난 수익 시스템을 구축했다.

Time – 자동 결제 시스템으로 ‘자면서도 수익’

한 번 고객을 확보하면 이후에는 자동으로 매달 결제가 되며, 창업자가 직접 시간을 들이지 않아도 수익이 나는 구조였다.

 

달러 셰이프 클럽 세트

💰 1조 원에 매각된 결말

이 회사는 2016년, 글로벌 기업 유니레버(Unilever)에 약 10억 달러에 인수된다. 단 5년 만에 만든 시스템이 1조 원 이상의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다.

📌 핵심 요약

NECST 항목 달러 셰이브 클럽의 전략
Need 면도기 구매의 귀찮음 해소
Entry 브랜드 차별화, 바이럴 영상
Control 자체 브랜드 및 유통 통제
Scale 고객 수 증가에도 안정적인 구조
Time 정기결제 통한 자동 수익

✍️ 마무리하며

처음엔 막연하게 “어떻게 돈 벌지?”만 생각했는데, 지금은 ‘내가 없어도 돌아가는 구조’를 먼저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. 나도 언젠가는 NECST 원칙을 기반으로 내가 만든 시스템이 세상에 가치를 주고, 자유를 줄 수 있는 날을 상상해본다.

반응형